PPP (Public Private Partnerships)
예산적자 및 공공부채에 대한 우려 및 조세 수입만으로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인프라를 건설하기에
투자여력의 한계를 갖고있는 정부로서는 흑자재정 달성을 위해 대처방안으로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
있습니다.
영국을 비롯 호주, 스페인에서 활발한 민관협력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범위는 도로 및 철도 그리고
공항건설의 경제적 인프라 와 학교, 병원 및 감옥등의 사회적 인프라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영국
에서는 국방사업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.
시드니무역관 배강기님의 호주 민관협력 사업에 따르면 호주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조달 진행과정의 공정성과 정책의 투명서을 바탕으로 넓은 분야의 다양한 민간 부문의 투자기회가
창출되며 그 결과 많은 민간부문의 참여가 이루어짐
- 연방정부 산하기관인 호주 사회기반시설관리기관 (Infrastructure Australia)이 연방정부 대신해
만든 민관협력정책과 지침(National PPP Policy and Guidelines)을 근거로해 입찰자
선정과 계약이 진행됨
- 연방정부에 의해 만들어진 민관협력정책·지침 외에 호주의 주별로 조금씩의 차이를 보이는 관련
법률 또는 정책이 존재하며, 이 또한 프로젝트에 따라서 요구되는 부분이 다를 수 있음
정부사업관련 민간기업의 공공분야 공급에서 구매 서비스로의 전환은 설계에서 자금조달, 선설 및
운영, 유지보수까지 모든 분야에 걸쳐 참여가 증가하며 이러한 협정을 Public Private Partnerships
(PPPs) 이라고 합니다.
호주의 PPPs 주요용도는 고속도로, 공항, 철도, 교량 및 터널과 같은 운송관련 이나 현재 병원,
학교, 스포츠 시설과 같은 사회기반 시설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
과거 20년동안 1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PPPs로 성공리에 진행한 호주 정부의 National PPP
Policy and Guidelines 따르면 호주의 PPPs는 프로젝트가 AUD $50m 이상이면 반드시 PPPs를
검토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.
호주 민간투자 PPPs의 각 주별 성공 프로젝트
New South wales (수도: 시드니)
Cross City Tunnel $680m
Royal North Shore Hospital Redevelopment Stage 2 $1.1bn
Lane Cove Tunnel $1.1bn
Olympic Stadium $615m
Vistoria (수도: 멜버른)
Victorian Desalination Plant $5.7bn
Melbourne City Link $1.6bn
Eastlink $2.6bn
Peninsula Link $849m
Royal Children‟s Hospital $946m
Queensland (수도: 브리즈번)
Airport Link/Northern Busway $5.1bn
Gold Coast Rapid Transit $1.1bn
North South Bypass $3.2bn
Airport Rail Link $223m
Schools $550m
South Australia (수도: 에들레이드)
New Royal Adelaide Hospital $2.9bn
Education Works (6 Schools) $193m
Western Australia (수도: 퍼스)
Mundaring Water Treatment Plant $360m
Perth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$220m
Midland Public Hospital $360m
CBD Court Complex $235m
Eastern Goldfields Prison $246m
Northern Territory (수도: 다윈)
Darwin Prison $495m
Darwin City Waterfront Development/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$108m
Tasmania (수도: 호버트) Risdon Prison Redevelopment $100m